카테고리 없음

제습기vs에어컨 제습기능 비교분석!!!✅

만물박사 최박사 2025. 6. 3. 09:39

🌧️ 2025년 여름 장마철, 꼭 알아야 할 꿀팁!

많은 분들이 궁금해하는 제습기 vs 에어컨 제습기능의 차이점, 제대로 알려드립니다!

올해도 어김없이 찾아온 긴 장마철, 눅눅한 집안 공기 때문에 고민이 많으시죠?
그래서 많은 분들이 묻습니다.

“굳이 제습기를 살 필요가 있을까? 에어컨 제습 기능이면 충분한 거 아냐?”

겉보기에 비슷해 보이지만, 제습기와 에어컨의 제습기능은 작동 원리도, 효과도, 전기요금도 전혀 다릅니다.
이 글에서는 두 제품의 핵심 차이점과 각각의 장단점을 쉽게 풀어드립니다.
당신의 공간과 상황에 맞는 똑똑한 선택을 도와드릴게요!

❄️ 에어컨 제습 기능의 작동 원리

1. 공기 흡입

  • 실내 공기를 에어컨이 빨아들임
  • 이 공기에는 수분(습기)도 포함되어 있음

2. 냉각기(증발기)를 통과하면서 수분 응축

  • 에어컨 내부의 **증발기(차가운 금속 코일)**를 지나면서
    공기가 급격히 냉각
  • 차가운 코일 표면에 공기 중 수분이 이슬처럼 맺힘
    결로 현상 발생 (이때 수분이 물방울로 변함)

3. 응축된 수분 배수

  • 맺힌 물방울은 드레인 호스를 통해 밖으로 배출됨
    → 이게 바로 실내 습도를 낮추는 과정

4. 온도 조절

  • 제습 모드에서는 실내 온도가 너무 떨어지지 않도록
    냉매 압력이나 팬 속도를 조절해서 냉방을 최소화함
    (완전 냉방 모드보다는 약한 냉방)

 

🌬️ 제습기의 작동 원리 (응축식 기준)

가정용 제습기의 대부분은 응축식 제습기입니다.
이 방식은 에어컨과 유사한 구조를 사용하지만, 냉방이 아닌 습기 제거가 주 목적입니다.

1. 실내 공기를 흡입

  • 제습기 상단이나 후면의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빨아들임
  • 이 공기에는 수증기(습기)가 포함돼 있음

2. 증발기(냉각기)를 통해 공기를 차갑게 식힘

  • 흡입된 공기는 제습기 내부의 **냉각 코일(증발기)**를 통과하면서 빠르게 냉각
  • 이 과정에서 공기 중 수분이 응결되어 물방울로 변함
    결로 현상 발생

3. 응축된 수분을 물통에 저장

  • 발생한 물방울은 아래로 흘러 물통에 저장
  • 또는 배수 호스를 연결하면 지속 배출 가능

4. 재가열 후 건조한 공기 배출

  • 냉각 후의 찬 공기는 **응축기(콘덴서)**를 통과하며 다시 데워짐
    → 쾌적한 온도의 건조한 공기가 실내로 배출됨

이슬점이란..?   

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축되어 물방울이 맺히는 임계 온도

  • 공기 중에는 항상 일정량의 수증기(수분)가 포함되어 있어요.
  • 이 공기가 차가운 표면을 만나거나 온도가 낮아지면,
    어느 순간 공기가 더 이상 수분을 품지 못하고,
    수증기가 물방울로 바뀌는 순간의 온도가 바로 이슬점입니다.

 

2.제습 방식의 차이

🧠 아니 그럼 그냥 차가운 공기냐 아니냐 문제 아니야?

 

"단순히 차가운 공기냐의 문제가 아니다"

 주 목적과 제어 방식의 차이

  • 에어컨 제습 기능:
     냉방이 주 목적이고, 제습은 부가적인 결과에 불과함.
     온도 중심 제어: 실내 온도를 낮추는 도중에 습기도 같이 제거됨.
    → 습도 조절 정밀도 낮고, 원하는 습도에 도달해도 멈추지 않음.
  • 제습기:
     습도 조절이 주 목적이고, 온도 변화는 최소화됨.
     습도 중심 제어: 목표 습도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꺼지거나 조절함.
    → 특정 공간에 대한 정확하고 지속적인 제습 가능.

👉 즉, 목적이 다르므로 설계와 작동 방식도 다르다.

그러니깐.. 세밀한 습도와 온도 등 제습기가 있어야 가능합니다!
그리고 요즘 제습기는 기능이 아주 많더라고요.. 신기합니다 스마트폰으로도 통제가 가능한 제습기가 있고..
역시 과학.

 

3.에너지 효율성

간단히 말씀 드리면 에어컨은 일반적으로 넓은 공간을 커버하다보니 비교적 전력소비량이 많습니다.
또 모델별로 에너지 효율성이 크기때문에 신중한 선택이 필수입니다!

 

 

 

4.선택 가이드! 및 마무리

-간단히 정리 하자면
-한 여름 장마철을 대비하고자 한다면 제습기를 마련하시는게 가장 좋다고 생각합니다!!!
-장시간 이용하고자 한다면 제습기가 에너지 효율이 비교적 좋다보니 더 낫다고 생각합니다!!
-에어컨은 이동이 거의 불가능 합니다. 하지만 집안 구석구석 상황에 맞추어 이용 하고자 하면 제습기가 유력합니다!!!
-제습은 하고싶고 추운건 싫다면! 제습기가 답입니다.. (제습기능만 틀어도 냉방병 걸리는..저 입니다...)
-반대로 겸사겸사인게 좋다! 예민하지 않은 분들은 에어컨이 좋다고 생각합니다!!

 

 


이상 마무리 입니다! 감사합니다! 좋은 선택 하시길 바라겠습니당.

 

 

#제습기 #에어컨 #가성비 #여름 #장마